상수
- 데이터 값 그 자체
자바스크립트 자체가 웹 프론트엔드 기술로 활용되기 때문에 8진수, 16진수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8진수(숫자 앞에 0을 붙여서 표현) : var n = 015 // 10진수 13
16진수(숫자 앞에 0x를 붙여서 표현) : var n = 0x15
실수 : 1.지수: 0.1234 2. 지수형: 1234e-4 // 1234X10-4 = 0.1234
논리: 1.참 true (단 'true'는 string 문자) 2.거짓:false
문자열 1. ""로묶음 2. ''로 묶음
기타 1. null: 값이 없음 2.NaN:수가 아님 : var n = parseInt("abc") // paseInt는 정수로 형변환 하는 건데 "abc"가 숫자가 아니라 NaN으로 반환함
문자열상수
- "" 또는 '' 모두 사용 가능
- 둘 다 쓸 수 있지만 문자열 내 문자열을 쓸 때 하나는 꼭 다른 걸로 써야 함
<p onmouseover(이벤트이름) = <"doucument.body.style.color = 'brown'(문자열 내 문자열)">
- ""을 문자열 내에 쓰고 싶은 경우 \"로 표기 (특수문자)
var cite = ="rmsusms \"누구세요"\라고 말했습니다"
연산자(연산항으로 구성된 것)
1. 산술 + - * / %
2. 증감 ++ ==
3. 대입 = *= /= +=-= ....(비트 및 시프트 연산자와 결합 가능)
4. 비교 > < >= <= == !=
5. 논리 && || !
6. 조건 ? : (if/else)
# 비트, 시프트 연산자
산술 연산자
- + - * / %
-자바스크립트의 나눗셈 연산자는 항상 실수로 나옴 왜냐하면 계산에 민감한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자료형에 대해 예민하지 않음. (cf. // 정수 연산자)
증감 연산자(단항 연산자(연산항이 1개)<->이항연산자(연산항 2개))
- ++ 특정 변수의 값을 1 증가시킴
- -- 특정 변수의 값을 1 감소시킴
- 전치 연산자: 누구보다 먼저...
b = ++ a; ++먼저
- 후치 연산자: 누구보다 늦게..
b = a++ 다른 연산자에 비해 제일 늦게 1. b에 a를 넣고 2. a값을 1 증가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 a && b
- a || b 둘 중 하나라도 true면 true리턴
- !a a가 false이면 ture값 반환
조건 연산자
- ? :
조건연산식 ? 연산식1 : 연산식1
- 조건 연산식의 값이 true면 연산결과는 연산식1 false면 연산식2
ex. var big = (x>y) ? x : y;
문자열 여녈 연산자
- +
"abc" + "de" = "abcde"
"abc" + 23 = "abc23"
23 + "abc" = "23abc"
23 + "35" "2335"
23 + 35 = 58
23+ 25 + "abc" = "58abc"
"abc" + 23 + 35 = "abc2335"
문자열 비교 연산자
- 관계 연산자를 문자열 비교에 사용
var name = "kitae"
var res = (name == "kitade")
var res = (name > "park")
조건문 -
if(조건문) {
... 명령문 ...
} // 조건식이 true인 경우 실행
else if (조건문 {
... 명령문 2....
}
else {
... 명령문 3
}
이때 명령문이 한 줄인 경우 명령 블록을 생각함.
조건문 switch-cas
switch (연산식) {
case 값1:
실행 명령문1;
break;
case 값2
실행 면령문2;
break;
case 값3:
실행 명령문 3;
break;
default:
실행명령문 4;
}
명령문; break;없으면 걍 다음 case로 빠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구조체 고급 (0) | 2021.11.22 |
---|---|
구조체 (0) | 2021.11.16 |
문자/문자열 처리함수 (0) | 2021.11.09 |
자바스크립트 (0) | 2021.11.01 |
Chapter 7. Sampling Dist and the Central Limit Theorem(표본분포과 중심극한정리) - (1) 소개 (0) | 2021.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