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ny is planning to run a global marketing application in the AWS Cloud. The application will feature videos that can be viewed by users. The company must ensure that all users can view these videos with low latency.
Which AWS service should the company use to meet this requirement?
- A. AWS Auto Scaling
- B. Amazon Kinesis Video Streams
- C. Elastic Load Balancing
- D. Amazon CloudFront
내 문풀)
한 회사가 글로벌 마케팅 어플리케이션을 계획 중. 이 어플은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비디오를 제공함. 회사는 모든 사용자가 지연 시간 없이 이 비디오를 볼 수 있어야 함. 어떤 aws 서비스가 필요할까?
나. 비디오를 전문적으로 다룰 것 같은 비디오 스트림이지 않을까 해서 B를 찍었다!!
A.
- A. AWS Auto Scaling
- B. Amazon Kinesis Video Streams
- C. Elastic Load Balancing
- D. Amazon CloudFront
답은 Amazon CloudFront이었다. 그럼 CouldFront이 뭘까? 공식 문서에 따르면 CouldFront는 정적, 동적 웹 컨텐트의 전달 속도를 높이는 content delivery network(CDN)이라고 한다. CouldFront은 내 컨텐트를 근처 지역의 데이터센터의 월드 와이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해준다. CouldFront를 이용해 유저의 요청(request)는 우 낮은 지연시간으로(거의 뭐 즉각적으로) 좋은 퍼포먼스를 한다고 하기에 답은 d가 된다.
여기서 CDN이란, 지리적으로 분선된 서버들을 연결한 네트워크로서 웹 컨텐츠의 복사본을 사용자 가까운 곳에 두거나 동적 컨텐츠(비디오 같은)의 전달을 활성화 해서 웹 선응과 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클라이언트가 해당 데이터를 요청하면 원본데이터의 복사본(캐시)을 엣지 서버에서 받아오는데 CouldFront의 경우 엣지 서버에 데이터가 없으면 origin server(Amazon S3 bucket, a MediaPackage channel, or an HTTP server)에서 컨텐트의 최종 버전을 가져온다.

그럼 나머지 선택지는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을까?
a는 AWS Systems Manager는 aws 어플리케이션과 리소스를 위한 운영 허브이며 안전한 운영으로 대규모로 활성화되는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환경을 위한 엔드 투 엔드 관리 솔루션이다. 여기서 허브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해주는 장비,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환경은 EC2, 온프레미스 서버, IoT Greengrass 코어 디바이스 등....의 시스템 유형의 조합이 포함된 환경을 말하며, 엔드 투 엔드 관리 솔루션은 한 업체가 스위칭, 라우팅, 방화벽, VPN 및 무선 엑세스를 제공한다는 건데 네트워크 전반을 관리해준다는 것 같다.
b는 Amazon Kinesis Video Streams는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처리 분석하는(데이터가 다 수집하기도 전에) ML이다.
c. Elastic Load Balancing는 하나의 AZ(가용영역)에 있는 여러 종류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산하여 어플리케이션 확장성을 개선하는 서비스다.
Which component of the AWS global infrastructure is made up of one or more discrete data centers that have redundant power, networking, and connectivity?
- A. AWS Region
- B. Availability Zone
- C. Edge location
- D. AWS Outposts
내 문풀) aws 글로벌 인프라의 구성요소 중 어떤 것이 1개 이상의 분리된 데이터 센터로 이루어져있냐? 이때 데이터 센터는 풍부한 전력, 네트워킹, 커넥션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a를 골랐다. 왜냐하면 하나의 리전에 가용영역(az)이 1개 이상 이루어져 있다고 배웠다. 글로벌한지는 모르겠다. 중복 전력인진 모르겠다. 네트워킹과 커넥션은 가지고 있다.
A.
- A. AWS Region
- B. Availability Zone
- C. Edge location
- D. AWS Outposts
하나의 가용 영역에 AZ가 1개 이상 있다고 했는데 가용 영역 안에 있는 것과 가용 영역 자체를 헷갈린 것 같다.
AZ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 센터이며, 각 AZ는 자신만의 파워 소스와 네트워크 인프라 그리고 커넥션을 가진다. AZ는 같은 리전에 있는 다른 AZ의 실패(?)와 분리되어 있다. AZ의 목적은 AWS 클라우드에서 호스팅하는 서비스와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고가용성과 내결함성을 제공한다. 왜냐하면 리소스들은 여러 AZ에(자기들끼리 독립적이니깐) 걸쳐 배치해서 organizations들이 어떤 AZ가 정전돼도 시스템이 계속 작동할 수 있기 때문임.
c. Edge location은 아까 cdn에서 말한 엣지 서버에 대한 이야기.
d. AWS Outposts은 aws서비스랑 인프라 api를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완전관리형 서비스다.
Which of the following are benefits of migrating to the AWS Cloud? (Choose two.)
- A. Operational resilience
- B. Discounts for products on Amazon.com
- C. Business agility
- D. Business excellence
- E. Increased staff retention
내 문풀)
다음 중 aws cloud로 마이크레이션했을 때 이점이 있는 것 두 개를 고르셈
a는 Operational resilience은 시스템 작동 중에 부정적인 사건(파괴, 손실, 미션과 관련된 기능 능력 손실...)에 회복, 흡수,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c. Business agility는 빨리 혁신적이고 디지털적인 비지니스 솔루션과 관련된 신흥적인 기회와 마켓 변화에 반응 할 수 있는 디지털 나이(?)를 완성하고 번영시키는 능력이다. d. Business excellence는 고객 중심, 이해 관계 개선에 기반을 두고 성과 향상을 목표로 품질 경영 원리와 도구를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e. Increased staff retention는 직원 보유율 향상...인데 관련 없을 것 같다.
aws는 사용한 만큼 돈을 내거나 부하가 오면 처리하는 기능 같은 게 많으니까 변화에 빠르게 반응해야 하는 능력이 필요한 a와 c가 아닐까 싶다.
A.
- A. Operational resilience
- B. Discounts for products on Amazon.com
- C. Business agility
- D. Business excellence
- E. Increased staff retention
a. Operational resilience, aws 클라우드는 높은 가용성과 확장성일 수 있게 디자인됐으니 Operational resilience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방해와 실패의 영향을 줄일 수 있을 것.
c. aws 클라우드는 Business agility는 새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로 배포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필요한 만큼 인프라를 구축하고 새 기술이 탑재된 장비를 제공할 것임.
A company is planning to replace its physical on-premises compute servers with AWS serverless compute services. The company wants to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advanced technologies quickly after the migration.
Which pillar of the AWS Well-Architected Framework does this plan represent?
- A. Security
- B. Performance efficiency
- C. Operational excellence
- D. Reliability
내 문풀) 한 회사는 물리적인 온프레미스 컴퓨터 서버를 aws 서버리스 컴퓨터 서비스로 대체하려고 한다. 그 회사는 마이그레이션 이후 진보된 기술의 이점을 얻고 싶어한다. 어떤 aws의 아키텍쳐 프레임워크의 기둥(?) 이 계획을 실현시켜줄 수 있을까?
a는 안전, b는 퍼포먼스 효율성, c는 조직상 훌륭함 그리고 d는 신뢰성이다. 마이그레이션해서 진보된 기술이 업데이트 되는 특징을 생각하면 훌륭함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c가 아닐까 싶다!
A.
- A. Security
- B. Performance efficiency
- C. Operational excellence
- D. Reliability
컴퓨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인데, 요구되는 변화와 기술 진보에 따라 효율성을 어떻게 유지하냐는 말이다. 여기서 keyword는 서버리스 컴퓨팅임. 왜냐, 서버리스 컴퓨팅을 사용하면 회사는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특징을 빠르게 사용할 수 있음 -> 효율성. 물론 이건 운영적 훌륭함으로도 이어질 수도 있겠지만(아닐수도 있어서) 결국엔 시간과 노력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key part: as demand changes and technologies evolve)
A large company has multiple departments. Each department has its own AWS account. Each department has purchased Amazon EC2 Reserved Instances.
Some departments do not use all the Reserved Instances that they purchased, and other departments need more Reserved Instances than they purchased.
The company needs to manage the AWS accounts for all the departments so that the departments can share the Reserved Instances.
Which AWS service or tool should the company use to meet these requirements?
- A. AWS Systems Manager
- B. Cost Explorer
- C. AWS Trusted Advisor
- D. AWS Organizations
내 문풀)
어떤 큰 회사는 여러 부서가 있다. 각 부서는 각자의 aws를 가지고 있고 EC2를 구매했다. 어떤 부서는 구매한 모든 RESERVED 인스턴스를 사용하지 않고 어떤 부서는 구매한 인스턴스보다 더 많은 인스턴스가 필요하다. 회사는 모든 부서를 위한 AWS 계정을 관리하길 원함. 그래서 그 부서들이 reserved한 인스턴스를 공유하길 원함. 어떤 aws서비스/툴이 이 회사의 요구사항을 만족시켜줄 것인가....
문제는 부서들이 사용하는 자원의 불균형을 맞춰주는 것이다. 자원을 덜 쓰는 부서의 양을 그만큼 필요한 부서가 쓸 수 있도록! a는 다양한 시스템들이 잘 운영될 수 있게 해주는 매니저고, b는 aws 비용과 사용량에 대한 인터페이스, c는 클라우드에서 모범사례와 비교하면서 대규모로 운영하고 보안과 복원력 개선, 성능을 높이고 비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d는 여러 aws 계정을 조직에 통합하고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는 계정 관리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조직 단위로 그룹화하고 다른 엑세스 정책과 연결할 수 있다고 한다. 문제에서는 부서들의 aws계정을 관리해주길 원하니까 답은 d!!
A.
- A. AWS Systems Manager
- B. Cost Explorer
- C. AWS Trusted Advisor
- D. AWS Organizations
답은 b였다.
95퍼나 b를 선택했는데 이 문제의 keyword는 reserved aws account이다. d는 aws 계정을 통합하고 관리하기 떄문에 계정을 관리한다는 관점에서 d를 선택할 수도 있지만 공식 문서에 따르면
Balancing your Reserved Instance (RI) usage and your On-Demand Instance usage can help you achieve better efficiency. To help, Cost Explorer provides tools that help you understand where your greatest RI costs are and how you can potentially lower your costs. Cost Explorer provides you with an overview of your current reservations, shows your RI utilization and coverage, and calculates recommended Reserved Instances (RIs) that could save you money if you purchase them.
cost Explorer이 수요 인스턴스에 반응하여 예약된 인스턴스를 밸런싱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한다. 따라서 답은 b.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linux kafka 초기 설정 (0) | 2024.09.20 |
---|---|
[CASE STUDY] 리멤버의 서비스 모니터링 분석 (1) | 2024.01.21 |
[CORE SESSION] Automating Architecture 정리 (0) | 2024.01.05 |
[SAA] Associate SAA-C03 5문제 (0) | 2023.12.23 |
CloudWatch와 x-ray를 통해 관찰 가능성 확보하기 (0) | 2023.12.02 |
댓글